우리 주변의 장례식 감동 사연들

2024년 08월 12일 작성

2024년 08월 12일 작성

우리 주변의 장례식 감동 사연들

배달의.. 아니, 애도의 민족

감동 사연

2021년 어느 커뮤니티에 올라온 장례식 일화예요. 고인은 돌아가시기 전 약 열흘 동안 아무 것도 드시지 못했다고 해요. 그렇게 맞이한 죽음, 유가족분들은 살아 생전 고인이 가장 좋아하던 두 가지 음식으로 장례식의 한 켠을 채우려 하셨는데요. 바로 된장찌개와 닭볶음탕.

이 된장찌개와 닭볶음탕은 무료로 배달이 되었어요. 주문 내역에 남겨 둔 유가족의 메모 때문인데요.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이라 주문한다던 한 문장이 가게 사장님의 마음을 울렸나 봅니다. 놀라운 건 두 음식을 각기 다른 두 곳에서 주문했는데, 모두 무료로 배달이 되었다는 점이에요. 잔잔한 메모와 함께요. '저도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힘든 시기가 있었습니다. 아버지 생각에 결제 안 받을게요. 맛있게 드셔 주세요'

따뜻한 세상인 것 같아요. 얼굴도 본 적 없는 누군가지만 함께 슬퍼하는 마음, 그리고 이전에 내 곁을 떠나간 누군가를 떠올리며 잠시 그리워하는 마음. 이 마음을 작은 정성에 담아 주고 받을 수 있는 우리. 배달의 민족 이전에 애도의 민족 아닐까요?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택배

장례식 사연

택배가 인연을 만드는 세상이에요. 고인에게 택배를 전하며 받았던 음료수 한 잔, 따뜻한 마음 한 잔을 기억하는 기사님이 계세요. 장례식으로 전달된,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택배 사연을 전해요.

작년 12월에 있있던 일이에요. 모친상을 당한 유가족 분에게 살아생전 고인이 주문하신 마지막 택배가 발송됐어요. 택배 기사님 연락처가 휴대폰에 저장돼 있어 부고 문자가 함께 발송되었나 봐요. 그래서 주소지가 아닌 빈소로 배달된 고인의 택배. 평소 고인이 전하던 선한 마음씨를 기억하고 마지막의 순간 찾아와 물품을 전하고, 마음을 전하고, 애도를 전하셨대요.

스쳐가는 누군가의 마지막을 기린다는 것. 깊고 따뜻한 마음 없이는 불가능한 일 같아요. 오늘도 우리 곁을 스칠 많은 인연들. 그분들과 나눈 크고 작은 감정들이 언젠가 다가올 마지막의 순간 진심 어린 애도로 이어지기를 바라 봅니다.

외국인 노동자도 느낀, 이런 따뜻함

외국인 노동자

애도의 반경엔 국경이 없어요. 환자로 머물렀던 한 필리핀 노동자에게, 아버지의 죽음을 기릴 비행기표 100만 원을 전해 준 충남 어느 병원의 원장님 이야기예요.

2023년 9월, 아산의 한 병원에 필리핀 외국인 노동자분이 일주일 간 입원을 하게 됐어요. 퇴원 하루 전, 그는 의사분께 모국에 계신 아버지의 부친상을 전했죠. 안타깝게도 비행기표를 구매할 돈 조차 없었던 그. 막막함에 눈물만 흘리고 있는 그를 위해 원장님은 한 마디와 함께 100만 원을 쥐어 주었다고 하는데요. '필리핀 가서 아버지 잘 모셔요, 내가 빌려주는 거야, 나중에 돈 벌어서 갚아요'

8개월이 지난 올해 4월, 실제로 노동자분은 다시 의사분을 찾아왔다고 해요. 1만 원 짜리 100장과 함께요. 모국에 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고 한푼 한푼 모아 갚은 마음. 다른 나라에서 지내며 느낀 그의 감정들이 비단 고됨과 서러움만은 아니길 바라요. 마지막을 향한 국경 없는 따스함, 이 따스함이 오늘도 우리 주변을 채우길 기도합니다.

이런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故감자튀김님의 장례식으로 초대해요
“Rest in Peace. 우리의 못난 감자튀김이여”. 오늘은 장례식을 활용한 우스꽝스러운..(?) 광고를 하나 소개할게요. KFC의 광고인데요. 악평이 쏟아진 소비자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 들이고, 새로운 감자튀김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에 장례식을 센스있게 활용했어요. 생중계도 하고 거리에 운구차까지 돌아다닌 그분..(?)의 장례식. 함께 돌아 보시죠.
24-11-19
주마등에 어울리는 팝송 모음
오늘 밤, 20분만 시간 내 줄래요? 네 곡의 노래 선물을 드리려구요. 하루를 정리하며 이 곡들을 하나씩 꺼내 먹어요. 출근길의 지침도, 퇴근길의 허무함도, 관계의 상처도, 내일의 불안함도. 조금은 다르게 느껴질지 몰라요. 80년 후 우리가, 이 노래를 들으며 오늘을 떠올린다면.
24-11-06
故김수미, “하늘을 볼 수 있음에 감사하면 돼”
웃는 작품 뿐이었습니다. 신기했어요. 무겁고, 슬픈 작품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더 가슴 아프게 다가오나 봐요. ‘국민 엄마’ 故김수미씨의 죽음.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뜬 그녀는 ‘죽을 때까지 사고치며 죽는구나’하며 사람들이 웃어 주었으면 좋겠대요. 때론 욕쟁이 할머니로, 때론 반찬 만들어 주는 여배우로, 때론 시골 어느 마을 일용이 어머니로 주었던 많은 웃음들.
24-10-28
 
투명하고 정직한 장례, 고이
목록으로 돌아가기
고이와 함께 100원으로 장례 준비하기
(주)고이장례연구소
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중요정보 고시사항사업자정보확인고객센터상담사 조회
대표이사 : 송슬옹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소현
사업자 등록번호 : 831-87-019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1-서울관악-2417
전화권유판매업신고번호: 2024-서울관악-0001
선불식할부거래업등록번호: 서울-2024-제174호
Tel : 1666-9784
주소 : 서울 관악구 신림로 122 2층
이메일 : contact@goifuneral.co.kr
© 2025. (주)고이장례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우리 주변의 장례식 감동 사연들 | 고이 프라임
장례식은 슬픈 공간만은 아니에요. 어느 공간보다 다양한 감동이, 크고 작은 감동이 느껴지는 곳이기도 한데요. 누군가의 마지막을 함께 기리는 마음, 그 마음들이 오고 갔던 우리 주변 순간들을 공유합니다. 정신 없는 일상이지만 ‘죽음’에 대해 잠시 멈칫할 수 있는 사회, 가까운 사람이 아니었어도 마음 한 켠 내어 주며 애도할 수 있는 사회. 이런 사회 속 우리들의 시간이 보다 따뜻해지기를 기도합니다.
2025.8.18 6: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