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별 자살 공익광고는 어땠을까?

2024년 08월 23일 작성

2024년 08월 23일 작성

시대 별 자살 공익광고는 어땠을까?

11년 전 : 우리에게 필요한 건, 그저 작은 물음표

[[공익광고협의회] 2013 자살 예방 - 물음표를 붙여주세요]

작은 물음표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요. 누군가의 마음에, 그리고 그들이 사는 세상에. ‘우울해’라는 평서문에 물음표를 붙여 줄 때, 어쩌면 숨겨 놓았던, 나도 보고 싶지 않았던 감정의 모양들이 하나씩 표현되고, 또 회복될지도 몰라요.

이런 작은 관심을 시사한 시대인 것 같아요. 인생은 혼자 사는 거지만, 세상은 같이 사는 거니 같이 사는 사람들의 대화와 관심들이 외로운 인생의 빛이 될지도. 오늘도 나를 스쳐간 수많은 사람들이 있어요. 누구와는 가깝고 누구와는 멀고. 나와의 거리는 다양하지만 누구든 마음 속에 슬픔 하나 정돈 갖고 살지 않을까. 10년 전 작은 물음표들이 오늘에도 필요해요. 잠시 시간을 내어, 따뜻한 미소 한 방울을 더해 작은 안부들을 건네 보는 건 어때요? 흑백TV 같은 누군가의 일상에 작은 빛을 더해 줄지도 몰라요.

8년 전 : 입시 감옥 속에 사는 너희들에게

우리나라 자살하면 청소년을 빼 놓을 수 없죠. 성인이 된 지금도 안타까워요. 그 시절 왜 그렇게 치열했고, 인생에 공부를 전부라 여겼는지. 자의든 타의든 힘들었던 그 시절, 우리들은 위로가 필요했나 봐요. 아마 지금도 필요할지도.

새벽부터 시작되는 학생의 하루가 그려져요. 10대가 감내하기엔 너무 많은 것들. 학업. 친구와의 관계. 가정의 불화. 사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작은 사랑일지 몰라요. 오늘도 힘내라는 작은 쪽지, 등을 두들리는 누군가의 작은 토닥임. 그렇게 하루 하루 견디다 보면 펼쳐지는 찬란한 미래를 보여 주고 싶었나 봐요. 견디는 게 누군가에겐 가혹할 수 있지만, 그래도 함께 견디다 보면 어느새 긴 터널을 지나고 있을테니까요. 아직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어린 친구들에게 사랑 담긴 안부 문자 하나 어떨까요?

4년 전 : 전화 한통에 시작된 새로운 삶

어쩌면 어려운 일이 아닐지도 몰라요. 새로운 마음을 갖고, 새로운 삶을 달려나가는 일은. 8년 전까진 누군가의 삶을 바라 보는 우리들의 자세를 담았다면, 4년 전 필름엔 내가 나의 삶을 바꾸는 주체성에 대해 말하고 있어요. 힘들 때 전화하고, 상담 받고, 변화하는 시간들이 우리 삶에 작은 세잎클로버를 선물할지도.

누구에게도 어두운 시간은 있으니까요. 그 시간들을 혼자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을 때 둘러 보면 잡을 수 있는 손들이 많을지도 몰라요. 이러한 국가적 지원들과 도움들이 많은 이들에게 인지되고, 경험될 때 주변의 슬픈 이야기들이 조금은 줄어들기를. 이런 바람과 함께 제안하는 ‘새로운 삶’. 전화 이후에 삶을 새로운 나이로 카운트하는 방식이 재밌었어요.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하는 희망의 메세지들, 누군가의 기억 속에 조금 더 깊게 자리매김 되기를.

1년 전 : 숫자가 말해 주는, 그래 다시 시작이야

적나라하게 보여 주고 있어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끝을 선택하는지. 13,352명의 죽음을 연령대로 쪼개어 그들의 일상을 보여 주고, 일상 속 한숨의 순간들을 보여 줘요.

13,352+1393=0이라는 공식이 인상적인 걸요. 4년 전과 유사한 건 계속해서 전화로 누군가의 삶을 붙들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는 맥락이에요. 유명 배우가 직접 전화를 제안하는 것도 인상적이구요. 예나 지금이나 죽음을 바꾸는 건 큰 것들이 아닌가 봐요. 11년 전 주변인들을 향한 질문, 1년 전 짧은 전화 한통으로 바꾸려는 누군가의 일상. 좋은 광고들로 누군가의 일상들이 계속 변화되었으면 좋겠네요. 절망의 순간, 극단의 순간. 마지막 남은 불씨가 그 빛을 잃지 않도록, 희망의 메세지들이 우리 주변 계속해서 오고 가며 경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故감자튀김님의 장례식으로 초대해요
“Rest in Peace. 우리의 못난 감자튀김이여”. 오늘은 장례식을 활용한 우스꽝스러운..(?) 광고를 하나 소개할게요. KFC의 광고인데요. 악평이 쏟아진 소비자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 들이고, 새로운 감자튀김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에 장례식을 센스있게 활용했어요. 생중계도 하고 거리에 운구차까지 돌아다닌 그분..(?)의 장례식. 함께 돌아 보시죠.
24-11-19
주마등에 어울리는 팝송 모음
오늘 밤, 20분만 시간 내 줄래요? 네 곡의 노래 선물을 드리려구요. 하루를 정리하며 이 곡들을 하나씩 꺼내 먹어요. 출근길의 지침도, 퇴근길의 허무함도, 관계의 상처도, 내일의 불안함도. 조금은 다르게 느껴질지 몰라요. 80년 후 우리가, 이 노래를 들으며 오늘을 떠올린다면.
24-11-06
故김수미, “하늘을 볼 수 있음에 감사하면 돼”
웃는 작품 뿐이었습니다. 신기했어요. 무겁고, 슬픈 작품은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더 가슴 아프게 다가오나 봐요. ‘국민 엄마’ 故김수미씨의 죽음.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뜬 그녀는 ‘죽을 때까지 사고치며 죽는구나’하며 사람들이 웃어 주었으면 좋겠대요. 때론 욕쟁이 할머니로, 때론 반찬 만들어 주는 여배우로, 때론 시골 어느 마을 일용이 어머니로 주었던 많은 웃음들.
24-10-28
 
투명하고 정직한 장례, 고이
목록으로 돌아가기
고이와 함께 100원으로 장례 준비하기
(주)고이장례연구소
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중요정보 고시사항사업자정보확인고객센터상담사 조회
대표이사 : 송슬옹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소현
사업자 등록번호 : 831-87-0197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1-서울관악-2417
전화권유판매업신고번호: 2024-서울관악-0001
선불식할부거래업등록번호: 서울-2024-제174호
Tel : 1666-9784
주소 : 서울 관악구 신림로 122 2층
이메일 : contact@goifuneral.co.kr
© 2025. (주)고이장례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시대 별 자살 공익광고는 어땠을까? | 고이 프라임
세상에서 가장 슬픈 1등이에요. 작년에도 1등이었거든요.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10만 명 당 약 25명이 자살하는 우리 나라. 죽음이란 큰 틀을 생각할 때 ‘자살’은, 최소한 대한민국에선 빼 놓을 수 없는 키워드일지도 몰라요. 모두가 힐링과 욜로를 외치지만 삶을 끝내는 사람들은 가장 많은 아이러니함. 이런 아이러니함에 대해 우리는 잠시 생각해 보아야 해요. 이런 생각의 여정에서, 시대 별 자살 관련 공익광고를 돌아 보면 어떨까 했어요.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언제나 외치고 있었던 자살에 대한 경각심, 생명에 대한 존엄성. 그 외침들이 시대 별로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아서요. 10년 전부터 작년까지, 자살에 대한 시대의 메아리들을 함께 알아 보시죠!
2025.8.18 6:10:10